포트폴리오 만들기 -1-
뭐부터 해야할까?
나는 제대로 된 포트폴리오가 없다. 처음 직업을 구할 땐, 리액트를 사용해서 화면 인터페이스만 만들고 RDBMS를 연결하지 못했다. 프론트엔드가 수요가 높다고 하여 그렇게 시작했었다. 어찌저찌 취직을 하고 그만두고 다시 취직을 해서 일을 하고 취직 전과 지금은 뭐라고 설명하긴 힘들어도 회사에서 배운 것이 참 많다. 개발을 위해 어떤 것을 고려해야 하는지, 환상적인 사수를 만나 많이 배우고 영향력 있는 직원이라면 회사를 위해 저렇게 노력을 하는 사람이라는 것도 알았다. 개발을 하며 불편했던 일을 개발자의 편의성을 위해 버전관리, 배포관리, 서버관리, 문서의 중요성, 설계의 중요성, 그리고 초급개발자라고 시키는 것만 해서는 편하게 갈 길을 돌아돌아 갈 수 있으니 참여하려고 해야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많은 것을 배웠지만 나라는 상품을 취업시장에 팔 홍보수단이 없었다. 전반적인 개발에 대한 지식은 올라갔지만 회사에서 다른 선배들이 닦아놓은 길에 발을 얹은 것 밖에 되지 않았다. 혼자 처음부터 끝까지 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나는 해봤다'는 말을 할 수는 있지만 '할 수 있다'라고 말하기엔 애매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보려고 생각했다. 이직을 위해서.
먼저 나의 목표가 이직이니만큼, 어떤 기술들이 필요한지를 보았다.
- React, TypeScript, MongoDb
- Node.js, EC2, GraphQL
- Vue, Next.js, Git
- Jenkins, React Query, React Testing Library
- Angular, Azure, Nest.js
- Kubernetes, Redis, REST API
그래서 spring bootstrap으로 서버를 구성하고, EC2에 올리고 앞단은 React로 구성해볼 생각을 했다.
뭘 만들지에 대한 아이디어는 아직 없다. 고민하고 설계하고 구성하면 늦을 것이다. 생각은 변하기 때문에 나는 먼저 시작을 하기로 했다. 일단 할 줄 아는 것부터. 자존심을 부리지 않고 처음부터 차근차근 하는 것이다. spring bootstrap으로 서버를 만들고 create-react-app으로 간단하게 client단을 구성해서 연결할 것이다. DBMS는 postgres로 해서 프로젝트를 만들면 Git에 연결을 하고.. 일단 시작하자.
1. https://velog.io/@u-nij/Spring-Boot-React.js-%EA%B0%9C%EB%B0%9C%ED%99%98%EA%B2%BD-%EC%84%B8%ED%8C%85
Spring Boot + React.js 개발환경 연동하기
Spring Boot와 React.js를 연동해 개발환경을 만들고, 빌드해서 jar 파일로까지 만들어보는 과정입니다.
velog.io